치매전담요양원은 치매 환자를 전문적으로 돌보는 요양원입니다. 치매전문요양원은 치매 환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전문적인 의료진이 치매 환자의 건강을 관리합니다. 치매전문요양원 이용기준 비용 선택방법 한 번에 정리할 수 있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치매전담요양원 입소기준 등급
기존에 요양시설에서 치매증세가 발생하거나, 치매등급을 받으신 분들은 전용 요양기관의 입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 요양시설내에 치매전담 시설이 별도로 있거나 일반 요양원과 같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장기요양등급 2~5등급이고, 치매질환이 있으신 분
- 의사소견서 '치매' 기재
- 최근 2년내 치매진료
- 인지지원 등급 수급자이어야 합니다.
치매전담요양원 비용
일반적으로 치매전담요양원의 이용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치매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요양원에 입소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일반요양원의 경우에는 월 50~100만 원 수준입니다. 다만, 등급에 따라 금액이 감소됩니다. (본인부담률 조정이 되어, 부담을 경감합니다.)
치매전담 또는 일반요양원에 입소하는 경우에는 일반인의 경우 본인부담금은 20%와 비급여비 (식비, 간식비, 상급침실이용료 등)으로 계산되며, 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금 10%에 비급여비를 부담합니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전액무료로 이용가능합니다.
입소하려는 환자의 등급에 따른 본인부담금등을 가장 쉽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요양원 시설내의 사회복지사나 담당직원에게 문의하시고, 가장 저렴한 비용이나 합리적인 비용으로 이용여부를 먼저 체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① 일반 평균비용
월 입원비 | 간병비 | 식비 | 기타비용 |
100~300만원 | 10~20만원 | 5~10만원 | 5~10만원 |
② 치매전담 등급별 비용 (일반요양원 시설내 기준)
구 분 | 2등급 | 3~5등급 |
수가 총계 (30일 / 1일) | 2,686,200 / 89,540 | 2,477,100 / 82,570 |
공단부담(80%) (30일 / 1일) | 2,148,960 / 71,632 | 1,981,680 / 66,056 |
본인부담(20%) (30일 / 1일) | 537,240 / 17,908 | 495,420 / 16,514 |
비급여(식비 / 간식비) 9,000 / 2,000 (1일) | 330,000 | 330,000 |
개인부담금(요양비 + 비급여) (30일) | 867,240 | 825,420 |
<기타 비급여항목> 상급침실이용료 : 월 기준 200,000 |
③ 치매전담 요양원 비용
환자분의 장기요양 등급에 따라 본인부담율을 먼저 확인하셔야 합니다. 본인부담률은 20%~0%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전액무료)로 나누어집니다.
분류 | 등급 | 급여비용 | |
가형 | 나형 | ||
노인요양시설내 치매전담실 | 2등급 | 85,650 | 77,090 |
3~5등급 | 78,980 | 71,070 | |
치매전담형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2등급 | 75,620 | |
3~5등급 | 69,730 |
치매전담요양원 선택방법
제일 먼저 고려하셔야 하는 것은 위치입니다. 요양원이 집에서 가까운 곳이어야 가족 방문이 용이합니다. 치매환자에 따라서 병원 선택의 방법도 달라집니다. 인지기능이 저하된 환자일 경우에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요양원을 선택하는 게 좋고, 신체기능이 저하된 환자일 경우에는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요양원이 좋습니다. 간병 서비스 수준 및 의료진의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최근의 요양원은 치매전담요양원을 별도로 확보하거나, 내부시설에 치매전담요양원을 같이 두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시설을 옮기지 않고, 현재의 시설에서 추가적인 치매돌봄 서비스를 받는 것도 좋습니다.
모든 프로그램을 다 보유하고 있다고 해서 좋은 치매전담요양원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치매환자의 입장에서 어떤 기능이 저하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시고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치매전문요양원 선택의 고려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요양원의 위치
- 요양원의 시설과 서비스
- 의료진의 수준
- 입원비
- 간병비
- 식비
- 기타 비용
치매전담요양원 현황 (feat. 서울 기준)
최근에는 일반요양원에서 치매전담요양원을 공동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시설의 규모가 중형이상이어야 합니다. 아래에서는 치매전담요양원으로 우선 등록된 곳을 알려드리겠습니다.
No. | 치매전담요양원 | 주소 | 연락처 |
1 | 노블케어스 | 서울시 은평구 응암로 353 | 02-361-0006 |
2 | KB골든라이프케어 위례빌리지 | 서울시 송파구 위례광장로 220 | 02-6412-4820 |
3 | 강북실버종합복지센터 | 서울시 강북구 오패산로 290 | 02-984-0300 |
4 |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요양원 | 서울시 강남구 헌릉로 590길 50 | 02-2160-1000 |
5 | 붓다마을 |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 48길 41 | 02-3156-7500 |
6 | KB골든라이프케어 서초빌리지 | 서울시 서초구 형촌2길 33 | 02-6284-4000 |
7 | 시립동부노인전문요양센터 | 서울시 성동구 마장로 23길12 | 02-3407-2700 |
8 | 봄날 강서요양원 |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 11길 15-11 11층 | 02-2661-6600 |
9 | 실버캐슬요양타운 | 서울시 양천구 신월로 107 | 02-2065-1451 |
10 | 시립서부노인전문요양센터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6길 15 | 02-376-0472 |
11 | 서울특별시립마포실버케어센터 |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1길 21 | 02-6392-5005 |
주소를 통해서 위치를 먼저 확인하시고, 홈페이지등을 통해서 현재 대기현황, 시설프로그램, 입소비용등을 검토해 보고 2~3군데를 선택 방문하셔서 상담받으시는 게 제일 좋습니다.
마무리 글
치매전담요양원 이용기준 비용 선택방법 한번에 정리할 수 있게 알려드렸습니다. 최근의 치매환자는 연령이 낮아지고, 치매증상에 대한 진단이 많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가족들이 번갈아가면서 치매환자를 케어하는 경우도 있는데, 초기에 진단 시 바로 치매전담요양원 입소여부 또는 프로그램을 바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데이케어나 방문케어등을 통해서 치매환자를 초기에 돌봐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족들이 치매환자를 어떻게 케어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같이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통적인 증상을 가진 환자들이 모여있는 곳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케어하는 간병등을 보고 적응하는 것이 더욱 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