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하철 무료승차권 신청 발급방법 65세 교통비 지원 변경

모던타임즈 2025. 3. 11. 13:47
반응형

지하철 무료승차권이 발급가능한 사람은 만 65세 생일경과자 기준입니다. 지자체별로 무료승차권 발급대상처가  다릅니다. 지하철 무료승차권 신청 발급방법 65세 교통비 지원 변경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지하철 무료승차권 신청 발급방법 65세 교통비 지원 변경

 

 

 

 

 

1. 지자체별 지하철 무인교통카드 종류 (이용방법)

 

만 65세 이상 어르신은 생일 당일부터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의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무임 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교통카드는 지자체별로 경로우대 교통카드, 시니어 교통카드, G-PASS, 노인교통카드, 복지교통카드 등 다양한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1. 지하철 일회용 교통 우대권 방식 및 사용방법 

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우대발급은 신분증을 소지하고 계시면 지하철 역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증금은 500원입니다. 지하철 이용 후 반납해야 보증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1회용 교통카드 발매기에서 우대용을 선택합니다.

② 목적지를 선택하고, 신분증을 사진이 아래로 향하도록 올려놓습니다.

③ 보증금 500원을 투입합니다.(지폐사용 가능)

④ 거스름돈과 카드를 받아 개찰구 오른쪽의 단말기에 접촉한 후 입장합니다.

⑤ 보증금은 역의 보증금 환급기에 1회용 교통카드를 투입하면 언제든지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1.2. 무임카드, 교통카드 방식 

 
65세 어르신 무임교통카드는 크게 단순 무임카드와 교통카드 방식으로 나뉩니다.단순 무임카드는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시 신분증을 지참하여 본인이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신청 가능일은 만 65세 생일 당일부터 가능합니다.  

 

 

  • 서울, 인천의 경우 65세 생일 한 달 전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교통카드 방식은 신한은행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발급 시 신분증과 통장(해당 은행) 사본을 지참하여 본인이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신청 가능일은 만 65세 생일 당일부터입니다.

 

 

 

 

 

2. 만65세 이상 무임 교통카드 신청방법 

 
교통카드 종류  신청장소 (지자체별 다름) 사용가능시기  결제방식 
신용카드 (연회비 0)
체크카드 (연회비 X)
기존 카드 연결 가능 
신한 : 서울, 인천, 충남, 대구 
농협 : 경기도, 강원도 
하나 : 광주, 대전

신한,롯데카드 (신용카드) : 부산 

부산은행 (체크카드) : 부산 
발급 후 즉시사용 가능 

(신청 후 발급 7~10일)
신용카드 방식 - 후불 
체크카드 방식 - 선불티머니 충천 후 사용 
단순 교통(무임)카드 주민센터: 서울, 인천의 경우 만65세 생일 도래 30일 전부터 신청가능하고, 사용은 생일도래후 가능합니다. 즉시 발급가능, 1~3영업일 경과후 사용가능 
(익일부터 대부분 사용가능하나 마을버스 등에서 직접등록으로 다소 시간소요)
선불 
티머니 충전 후사용 

 

* 경기도 성남시, 의왕시는 버스 교통비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하철 무료승차권인 G-PASS카드를 현금카드로 발급받으세요. 버스 교통비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같이 보는 글 :  아래 만 65세 지원금 각종 혜택 총정리

 

2021.12.26 - [분류 전체보기] - 2022년 만 65세 이상 출생연도 68가지 혜택 지원금 신청 총정리

 

2022년 만 65세 이상 출생연도 68가지 혜택 지원금 신청 총정리

22년도 부터 만65세가 되는 1957년생 이상인 어르신은 정부에서 주는 60여가지의 지원 혜택과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혜택을 주는 8가지 이상의 혜택에 대해서 내용과 기준, 지원금등을 자세히 알

jwlee.tistory.com

 

 

 

 

 

3.  만 65세 지하철 무료 교통카드 사용 시 유의사항 

 

 

 

① 신분증 지참 필수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타인이 부정사용할 경우 발급이 1년간 제한되므로, 도난이나 분실 시 즉시 주민센터나 해당 은행에 신고해야 합니다.

 

 

② 1인당 1장만 발급

65세 어르신 무임교통카드는 1인당 1장만 발급됩니다. 카드 재발급 시에는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③ 발급 지역 내에서만 사용

65세 어르신 무임교통카드는 발급받은 지역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전에서 발급받은 카드는 대전 도시철도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은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 지역의 도시철도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④ 공항철도 75% 할인

공항철도는 무임 혜택이 없으며, 75% 할인됩니다.

 

 

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유지

수도권은 지하철-버스, 버스-지하철, 버스-버스 간 환승 시 통합환승할인을 유지합니다. 단, 지하철-버스 환승 시에는 버스 기본요금이 부과됩니다.

 

 

⑥ 버스 간 환승할인

버스 간 환승 시에는 버스와 버스가 30분 이내라면 환승할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지하철의 경우 1회용 권은 환승할인이 불가합니다. 

 

 

 

 

4. 맺음말 

 

65세 어르신 무임교통카드는 경제적 부담을 덜고, 교통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번에 변경된 내용을 잘 숙지하여,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